바람따라 길따라
창경궁(昌慶宮) 본문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弘化門}]
과거 한때는 동물원인 창경원인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려졌던 창경궁(昌慶宮)
창경궁(昌慶宮)의 처음 이름은 수강궁(壽康宮)으로,
1418년 왕위에 오른 세종이 생존한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해 지은 궁이었다고.
성종 13년(1482) 창덕궁의 수리를 논하는 자리에서
대비전의 세 어른인 세조의 비 정희왕후, 덕종의 비 소혜왕후, 예종의 계비 안순왕후를 모시기 위해
폐허처럼 남아 있던 수강궁 수리를 명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때의 확장공사는 성종 15년(1484)에 명정전·문정전·통명전 등 주요 전각을 완공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으며,
그에 즈음하여 이름도 창경궁으로 새로 지었다고.
이듬해 보완공사를 거쳐 궁궐다운 규모를 갖추게 된 창경궁은
창덕궁의 부족한 기능을 일정 부분 보완하는 궁궐로서 자리잡게 되는데
그 뒤 창경궁은 임진왜란(1592)으로 도성 안의 모든 궁궐이 불타면서 함께 소실되었고
전쟁이 끝나고 궁궐 복구가 시작되어 1615년(광해군 7)에 광해군이 중건된 창덕궁으로 이어하면서 바로 다음해에
이웃해 있던 창경궁 중건이 이루어졌지만
창경궁은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으로 창덕궁과 함께 또다시 소실되었다고.
그후 인조는 경덕궁(경희궁)에서 9년간 머물다가 완전히 복구도 되지 않은 창덕궁으로 돌아오고
이듬해인 인조 11년(1633) 창경궁을 수리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광해군 때 인왕산 밑에 지어놓은 인경궁의 전각을 헐어 옮겨 지었기 때문에
짧은 시일 안에 손쉽게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그후에도 크고 작은 화재와 수리가 이어지다가 순조 30년(1830) 다시 한번 큰 화재가 발생하여
환경전·경춘전·함인정·빈양문·숭문당 등 많은 전각이 재가 되었는데 창
경궁의 복구는 순조 33년(1833)에 이루어지는데 정조 14년(1790)에 소실되었던 통명전을 비롯해 환
경전·경춘전·숭문당·함인정·양화당·영춘헌·오행각 등을 중건하는 것으로, 이듬해 마무리되었고
현재 남아 있는 내전의 전각은 대부분 이때 세워진 것들이라고.
걸어다니면서 느낀 점은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게 잘 꾸며져 있다는 사실과 이곳에 동물원이 만들어진 것은 정조부터 순조까지 조선의 왕실이 이곳에서 태어나고 이곳에서 죽은 사도세자의 혈통이 조선후기의 왕실을 어어나갔기 때문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창경궁 옥천교 (昌慶宮 玉川橋). 봄철 주변에 꽃이라도 피면 그야말로 선경(仙境)이 될 것 같습니다.

창경궁의 금천(禁川)인 옥류천. 궁안의 춘당지(春塘池)의 물이 흘러서인지 아직도 이곳에는 물이 흐르고 있습니다.

창경궁의 회화나무,

바닥은 모래가 많이 섞여있는 흙으로 되어있어 지난 일요일 내린 문으로 상당히 질퍽거립니다.

관천대(觀天臺)

문정전(文政殿)
이 문정전앞에서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했다 합니다.

문정전 내부의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왕의 공간임을 알리는 상징입니다.

명정전(明政殿)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라고.




숭문당(崇文堂), 학문을 숭상한다는 의미로 현판의 글씨는 영조가 직접 썼다고.

인조가 강화도로 피신을 떠났다가 창경궁으로 돌아와 지은 전각으로 인왕산 아래 있었던 인경궁에 있는 함인정을 헐어 이곳에 옮겨와 지은 것으로 예전과 달리 현재는 벽체가 없고 모두 개방되어 있다고. 조선시대 임금들이 편전으로 사용했다고.

영춘헌(迎春軒)
정조가 거처하다가 승하한 곳이라고.

풍기대

해시계인 앙부일구

성종 태실

춘당지

대온실




관덕정




'나들이 > 궁(宮)'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의 멋진 나무들 (0) | 2020.02.19 |
---|---|
창경궁 춘당지 (0) | 2020.02.19 |
경복궁 경회루(景福宮 慶會樓) (0) | 2019.10.02 |
경복궁 (0) | 2019.10.01 |
운현궁(雲峴宮) (0) | 201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