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야기방 (106)
바람따라 길따라
(사진 : 늘푸른소나무 세상리뷰) 문을 닫고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회의 일이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집에 있는 것을 뜻하는 말 두문불출은 황해도 개풍군의 골짜기에 붙여진 이름, 두문동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영조가 개성으로 행차하던 어느 날 부조현이란 곳에 이르렀을 때, 신하에게 그 뜻을 물었습니다 "부조현이 무슨 뜻이냐?" 그러자 한 신하가 답을 합니다. 부조현이란 조정에서 실시하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는 곳이란 뜻으로 조선에 반대하는 고려 유생들이 갓을 벗어 나무에 걸어놓고 갔다고 알려진 곳입니다. 이 부조현을 지나면 두문동이 나오는데 두문동에 대한 영조의 질문에 신하는 이렇게 답합니다. "태종께서 과거를 실시했는데, 이 마을 사람들은 응하지 않고 문을 닫고 나오지 않아 두문동이라고 했습니다." 조선..
(사진 : 조선일보) 여름을 대표하는 면 요리 소바.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면 요리인 소바(蕎麥)는 일본어로 메밀(메밀로 만든 국수)을 뜻하는 단어다. 우리가 흔히 쓰는 메밀소바는 마치 ‘역전 앞’처럼 똑같은 의미를 두 번 중복해서 쓰는 것이라고.
(사진 : 경남일보) 경상남도 남해안에 위치해 해상중심지이자 한려수도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사천시는 고려시대에는 풍패지향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풍패는 한나라 고조의 고향 패주로, 풍패지향은 왕의 고향을 일컫는 말인데 본래 왕은 궁궐이 있는 그 나라의 수도에서 태어나는 것이 보통닌데, 경남의 남단 사천은 무슨 이유로 풍패지향이라 불리게 되었을까요, 태조 왕건의 아들 왕욱은 5대 왕 경종의 왕후인 황보와 사랑에 빠져 아들을 낳게 되는데 황보는 아이를 낳자마자 죽었고, 왕의 부인과 정을 통한 왕욱은 죄인이 되어 경남 사천으로 귀향을 가게 됩니다. 혼자 남게 된 아이는 외숙부 6대 왕 성종에게 '아버지, 아버지'라 부르며 옹알이를 하는 모습을 보고 아버지를 애타게 찾는 조카가 안쓰러웠던 성종은 아이를 아버지..
(사진 : 경북일보) 유죄의 형(形)을 선고하면서 이를 즉시 집행하지 않고 일정기간 그 형의 집행을 미루어 주는 제도를 말한다. 형의 집행을 유예하는 경우에는 보호관찰을 받을 것을 명하거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을 명할 수 있다.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에 형법 51조(양형의 조건)를 참작하여, 그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다만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한 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된 후 3년까지의 기간에 범한 죄에 대하여 형을 선고하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형의 집행을 유예하는 경우에는 보호관찰을 받을 것을 명하거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을 명할 수 있다.
(사진 : W Magazine Videos) 자율감각 쾌락반응.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으로 바람이 부는 소리,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을 제공해 준다. 힐링을 얻고자 하는 청취자들이 ASMR의 소리를 들으면 이 소리가 트리거(trigger)로 작용해 팅글(tingle, 기분 좋게 소름 돋는 느낌)을 느끼게 한다. 2010년 무렵 미국, 호주 등지에서 유통되었으며 국내에서도 팟캐스트, 유튜브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다.
(사진 : 경북일보) 리앙쿠르 대왕. 서양에서 불린 독도 지명 리앙쿠르암을 본따 리앙쿠르 대왕이라 불린 이 초대형 바다사자는 독도 강치라고 합니다. 원래 독도는 바다사자인 강치의 옛말을 따 가지도라 불릴 만큼 강치의 천국이었다고 하는데 강치의 가죽이 돈벌이가 된다는 걸 알게 된 일본인 수산업자 나카이 요자부로는 독도 임대권을 일본 정부에 청원해 강치 어획을 독점할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일본 내무성에서는 1877년 태정관지령문에 따라 독도는 일본의 땅과 관련이 없다며 청원을 거절하자 그는 일본 외무성을 찾아 가게 되는데 마침 러일전쟁 때문에 골치를 앓던 외무성은 독도에 망루를 설치해 러시아를 감시한다는 명목으로 그의 손을 들어주었고 이에 일본 내무성 역시 태도를 바꾸어 무주지선점론을 주장하며 독도를 일본..
(사진 : ㅍㅍㅅㅅ) 페미니즘을 실천하려고 하는 사람을 말한다. 여기서 페미니즘이란 성 차별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사회구조가 여성에게 부과하는 억압에 저항하여 성평등을 이루고자 하는 사상을 뜻한다. 페미니즘은 성 차별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사회구조로 인해 여성에게 주어지는 억압에 저항하여 성평등을 이룩하고자 하는 사상을 말한다. '여성의 특질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페미나(femina)'에서 파생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페미니즘을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ㆍ경제ㆍ사회 문화적 차별을 없애야 한다는 견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페미니즘을 실천하려고 하는 사람을 페미니스트라고 부른다.
(사진 : 한겨레신문) 음주운전으로 인명 피해를 낸 운전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고 음주운전 기준을 강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개정안’ 및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말한다. 특가법 개정안은 2018년 11월 29일 국회에서 통과돼 그해 12월 18일부터 시행됐으며, 도로교통법 개정안은 2018년 12월 7일 국회를 통과해 2019년 6월 25일부터 시행된다. 음주운전으로 인명 피해를 낸 운전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개정안’과 음주운전 기준을 강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말한다. 윤창호법은 음주운전 사고로 숨진 윤창호 씨 사망 사건을 계기로 마련된 법안으로, 고인은 2018년 9월 부산 해운대구..